항해99 12기 과정을 진행하면서 같은 반 동료들과 함께 프로그래머스 Lv0단계 문제를 하루에 5~6정도 정해서 풀어보고 함께 코드리뷰하는 알고리즘 릴레이를 진행하고 있다. 그 과정 중 오늘 프로그래머스 120823문제를 풀면서 실행시간이 평소 문제들에서 접할 수 없었다 어마무시한 시간이 나왔으며, 가볍게 풀고 넘어갈 수 있는 문제에서 성능 관련 이슈를 기존에 학습했던 부분들을 리마인드도 하고 한번 간단하게라도 줄여볼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보면서 해결해보려고 한다. 문제정의) "*"의 높이와 너비를 1이라고 했을 때, "*"을 이용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을 그리려고합니다. 정수 n 이 주어지면 높이와 너비가 n 인 직각 이등변 삼각형을 출력하도록 코드를 작성해보세요. 그냥 쉽게 정리하면 표준입력으로 콘솔에..
객체지향을 공부하다보면 객체지향의 꽃이라고 불리는 다형성을 공부하게된다. 이때 핵심은 클래스간에 상속관계가 형성되었을 경우 부모타입 참조변수로 자식 타입으로 생성된 인스턴스를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부분을 공부하다보니 참조변수의 형변환을 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해서 헷갈려서 실제로 코드로 작성해보고 테스트해보면서 개인적으로 추후에 해당 에러를 접하게 될 것 같아서 미리 정리해보려고 한다. // 부모 클래스 class Car{ protected String color; protected int door; public void drive(){ System.out.println("Go~~~~"); } } // Car 클래스를 상속받은 자식클래스 class FireEngine extends Car{ pri..
오버로딩 부분을 공부하다가 매개변수로 형변환이 가능한 메서드들을 오버로딩할 시 무엇이 다른가하는 궁금증이 발생해서 시도해봤다. 오버로딩이란? 자바에서는 객체지향언어이기에 클래스 단위로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그렇기에 하나의 클래스 안에서 속성을 저장하기 위한 변수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서드가 함께 담기게된다. 그렇기에 클래스 안에서 중복되는 변수명, 메서드명을 가질경우 추후에 사용할 시점에 구별을 할 수 없기에 컴파일 단계에서 중복관련 에러가 발생한다. 여기까지가 개념적으로 맞는 부분이다. 그러나 오버로딩을 활용하면 동일한 메서드명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기능을 처리할 수 있게된다. 이때 각 메서드를 구별하는 요소는 전적으로 매개변수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자세하게는 매개변수의 개수나 타입을 지정함에 따..
문득 Java 공부를 하다가 객체지향프로그래밍 부분에 객체의 멤버요소 중 메서드를 공부하던 중이었다. 기존에 책을 2번정도 완독했었는데, 그때마다 5~10번 아니 계속 반복해서 완전히 익혀야한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 특히 객체지향에 대해서는 정말 계속 보고 또 봐야한다고 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오늘 느껴지는게 있었던 것 같다. 현재 보고 있는 부분에서는 메서드를 선언하는 부분과 호출하는 부분에 대해서 나와있다. 그 중 내가 기존에 알고있던 부분에서 조금 더 깊어졌다고 해야하나? 그런 느낌을 받은 부분이 있었다. 바로 호출하는 쪽(클라이언트)에서 인자로 호출되는 쪽(서버) 매개변수에 값을 넘길 때 매개변수와 타입이 같거나 자동형변환이 가능해야하며, 호출을 마칠 때는 메서드에 정의한 반환타입과 타입이 맞거..
학습할 Repo를 fork한 후 작업을 수행하고 push 후 PR을 날리고 잘 되었는지 확인하던 중 불필요한 파일들까지 커밋에 포함되어 날아간 것을 확인했다. 여러명의 작업내용들이 합쳐지고 다시 각자 원격저장소에 sync되기에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급하게 커밋을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방법에는 revert와 reset 두 가지가 있었다. 첫번째 방법으로 revert를 시도했는데 바로 revert를 하기전 현재 변경사항들이 있어서 그런가 계속 충돌이 발생하고 커밋을 하고 난 후에도 시도했을 때 계속 충돌이 났다. 그리고 해당 과정을 수행하면서 아직 미숙한 단계라 커밋들이 뒤죽박죽하고 더욱 꼬여만 갔다. 그래서 우선 좀 더 쉽게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그 결과 reset으로..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