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선택 정렬(straight selection sort) 단순 선택 정렬은 두 가지 부분으로 볼 수 있다. 하나는 현재까지 정렬된 부분과 나머지 정렬해야하는 부분이다. 무슨 말인가? 즉, 단순 선택 정렬은 배열의 가장 앞 쪽부터 시작해서 정렬하고자하는 기준에 따라 정렬되지 않은 부분을 모두 검색하며, 그 중 현재 정렬되어야 할 위치에 기준에 따른 값을 정렬시키는 방식이다. 버블 정렬과 비교했을 경우 버블 정렬은 이웃하는 요소들을 검색하며, 정렬기준에 따라 이웃 간 교환이 발생한다면, 단순 선택 정렬은 정렬되지 않은 부분들을 모두 검색하여 그 중 정렬기준에 맞는 값을 현재 정렬해야하는 위치와 교환하는 방식이다. static int change = 0; //교환횟수 static int search = 0..
버블 정렬(bubble sort) 이웃한 두 요소의 대소관계를 비교하여 교환하는 알고리즘. 단순교환정렬이라고도 부른다. 액체안의 공기 방울이 위로 보글보글 올라오는 모습에서 착안했다고 한다. 버블 알고리즘에 관하여 3가지 방법으로 구현한 코드와 성능에 대해서 확인해보며, 정렬이 어떻게 진행되는가는 진행되는 과정을 출력으로 확인해보고, 3가지 방법에서 수행되는 교환횟수, 비교횟수를 확인해보자. 동일한 조건 설정을 위하여 {1,3,9,4,7,8,6}의 요소값을 갖는 크기가 7인 배열을 사용한다. 아래 출력되는 결과를 통해서도 확인해 볼 수 있듯이 버블정렬은 두 요소값을 비교할 시 값이 같으면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정렬 전후로 두 요소의 값에 따라 전체적인 위치는 변경되더라도 두 요소 사이에 순서는..
정렬 알고리즘이란 ? 정렬 : 이름, 학번 , 키 등 핵심 항목의 대소관계에 따라 데이터 집합을 일정한 순서로 나열하는 작업을 말한다. 오름차순(ascending order) 정렬 : 정렬하고자 하는 기준에 따라 가장 작은 값부터 시작하여 정렬하는 방식 내림차순(descending order) 정렬 : 오름차순과 반대로 가장 큰 값부터 시작하여 작은 값으로 정렬하는 방식 정렬 알고리즘의 안정성 정렬 알고리즘의 경우 안정된 알고리즘과 안정되지 않은 알고리즘으로 나눌 수 있다. 안정된 알고리즘 : 정렬 기준에 따라 정렬 시 동일한 값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 정렬 전후 순서가 유지되는 알고리즘 안정되지 않은 알고리즘 : 동일한 값에 대해서 정렬 전후 반드시 순서가 보장되지 않는 알고리즘 내부 정렬과 외부 정렬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